반응형

건설기계 4

건설기계분류

1 굴삭운반기계   - 도저   - 리퍼   - 타워굴착기   - 스크레이퍼 2 셔블계굴착기   - 파워셔블   - 드래그라인   - 클램셜   - 크레인   - 백호   - 파일드라이버 3 적재기계   - 로더 4 운반기계   - 덤프트럭   - 트레일러   - 기관차   - 컨베이어   - 피더 5 다짐기계   - 롤러   - 래머 탬퍼 6 포장기계  1) 아스팔트 포장기계    - 아스팔트 배치 플랜트    - 아스팔트 피니셔    - 아스팔트 스프레더    - 아스팔트 히터    - 아스팔트 디스트리뷰터  2) 콘크리트 포장기계    -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   - 콘크리트 믹서 트럭    - 콘크리트 펌프    - 콘크리트 진동기    - 콘크리트 피니셔    - 콘크리트 스프레더    - 콘..

건설기계의 도로주행

1 건설기계의 도로주행기준  1) 시행목적    - 교통안전과 도로의 구조를 보전하고 차량운행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임.  2) 적용기준    -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 22조, 도로교통법 제 39조 1항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운행상의 안전기준 2 운행관련 법규  1) 운행제한 규정    - 총중량 40톤 이상, 축하중 10톤 이상 건설기계는 통행 제한    - '도로의 구조, 시설기준에 관한 규정' 제 4조의 규정에 의한 (설계기준)차량의 종별제원을 초과하는 차량    - 관리청이 도로의 구조보전과 통행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차량    - 고속도로 : 전폭 2.5m 이하, 전고 4.0m 이하 길이 16.7m 이하의 차량 운행가능    - 지방도로 : 전폭 2.5m 이하, 전고..

버켓 용량 표기

1 버켓 용량 표기 종류 1) 규격표시 정의   - 굴삭기 버켓 용량은 평적(Struck volue)와 산적(Heaped Volume)으로 구분하고 있다.   - 일반적으로 산적으로 표기한다.     * 카달로그에서 Heaped Capacity라고 표현됨.   - 산적을 계산하는 방법은 규격에 따라 2가지(ISO, CECE방식)이 있다.  2) 용량표시 종류(산적을 표현할때 쓰이는 규격)   - PCSA   - ISO   - CECE     * ISO, PCSA와 SAE는 같음   - SAE(PCSA)2 용량표기 방식 1) 버켓 용량 표기방법   - 버켓면 위에 쌓이는 작업물질의 양 계산에 있어 흘러내림에 따라 표현하는 방식이 다름 2) 버켓 용량 표시 변경   - 국내 굴착기 버켓 용량이 CECE에서 ..

건설기계 선정시 고려사항

1 건설기계의 구비조건 1) 내구성   - 충격, 하중, 진동등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며 적합한 재료로 제작되어야 함.   - 작업조건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함. 2) 안정성   - 공사현장의 다양한 조건에서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어야함.   - 돌발적인 위험사항이나 위험한 작업조건에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 및 조치가 있어야 함. 3) 정비성   - 정비 및 수리를 간단, 용이하게 할 수 있어야 함.   - 점검, 주유, 저정등의 작업을 신속하고 요잉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.     * 주유는 집중 주유식으로 구성되어야하며 윤활유와 연료는 다양한 방식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함. 4) 범용성   - 어떠한 작업환경, 작업조건에 대응될 수 있어야 함.   - 작업 조건에 따라 운전에 불편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