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2025/05 5

압전효과(piezoelectrictiry)

1 압전효과 개요 1) 정의 - 압력으로 만들어진 전기 및 그 현상. 피에조 효과라고도 함. - 기계적으로 변형이 발생하면 분극현상이 일어나며 전위차가 발생하여 전기적 특성을 발현하는 것. 2) 특징 - 1차 압전효과 : 물체에 힘을 가하면 순간적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것. *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기 센서로 응용됨 - 2차 압전효과 : 전기적 신호를 가하였을때 물체에 기계적 변화가 나타나는 것(역 압전효과) * 전기적 신호를 받아 변위를 만드는 액츄에이터에 이용됨 2 압전효과 응용 1) 압전소자(피에조 소자) - 석영 - 전기석 - 타이타늄산 바륨 2) 압전효과 응용 제품 - 압전기 : 물리적 압력으로 미세전류를 만들고 방전시키는 장치. ..

타워크레인의 지지

1 타워크레인 지지 - 타워크레인은 건설현장에 중요한 건설기계로 하물의 운반 및 하중의 견인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, 설치 및 관리의 미흡시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관리 건설기계이다. - 자립고(free standig height) 이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경우 지지, 고정 풍속에 따른 작업제한등의 안전조치가 적용된다. *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르면 타워크레인을 자립고 이상으로 설치시 벽체지지 또는 와이어로프지지하나만 설치되도록 함. - 타워크레인은 플랜트, 터널공사, 빌딩건축등의 공사를 진행할때 건물의 높이가 상승할수록 최대풍속과 최대 순간풍속에 영향을 받는다. * 최대풍속은 지상 10m의 높이에서 하루중 임의의 10분간의 풍속 평균값 중에서 최대값을 말하며 ..

이동식 고소작업대

1 고소작업대의 종류 1) 무게중심에 의한 분류 - 상시 전복선 안에 있는 형태 - 전복선 밖에 있을 수 있는 형태 2) 주행장치에 따른 분류 - 1종 : 적재위치에서만 주행할 수 있는 형태 - 2종 : 차대의 제어위치에서 조작하여 작업대를 상승한 상태로 주행하는 형태 - 3종 : 작업대의 제어위치에서 조작하여 작업대를 상승한 상태로 주행하는 형태 3) 형태별 분류 - 차량탑재형 : 화물자동차에 지부로 작업대를 연결한 형태 - 시저형 : 수직으로만 승강하는 형태 - 자주식 : 작업대를 연결하는 지브가 있으며 자주용 기능이 추가된 형태 2 고소작업대 안전장치 1) 풋스위치 - 비상시 작업자가 발을 떼면 작동이 멈추는 장치 2) 상승이동방지장치(주행차..

산업재해

1 산업재해 개요 1) 산업재해 정의 - 업무와 관련되어 근로자가 재해를 입게되어 상해 또는 사망에 이르는 것 또는 시설/설비가 손상 파손되는 행위, 근로자와 시설/설비가 동시에 비정상의 상태가 되는 상태 2) 산업재해 발생원인 - 불안전한 행동(unsafe acts) - 불안전한 상태(unsafe conditions) 3) 산업재해 유형 - 끼임(entanglement / caught-in) - 떨어짐(falling) - 비산(flying object) - 충격(impact) - 화재/폭발(explosion) - 파열(bursting) - 누출(leackage)2 산업재해 종류 및 예방 1) 산업재해 발생시 의무사항 - 사업주 : 작업중지, 작업장소로..

가설통로

1 가설통로 개요 - 구조물등 내외부에서 사람이 이동하기 위한 이동 통로. - 가설통로와 사다리식통로로 구분된다. 2 가설통로 구조(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23조) - 견고한 구조로 할 것 - 경사는 30도 이하로 할것 *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m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견고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제외. - 경사가 15도를 초과할 경우 미끄럼을 방지하는 구조로 할 것. - 추락의 위험이 있을 시 안전난간 설치.(부득이한 경우 일부 해체 구조 가능) -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m 이상인 경우 10m 마다 계단참을 설치. -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높이 8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 설치. 3 사다리식 통로의 구조(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..

반응형